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이 무산됐다. 급박한 중동 정세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회의 일정을 하루 앞두고 조기 귀국을 결정하면서다. 대통령실은 “외교적 결례는 아니다”라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 무산을 ‘불가피한 상황’으로 설명했다.
1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17일(현지시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계기 예정됐던 한·미 정상회담이 취소됐다고 밝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이란 간 군사 충돌과 관련한 급박한 상황으로 인해 조기 귀국을 결정했다”며 “한·미 정상회담이 어렵게 됐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이런 일정 변경은 다자 외교 무대에서 가끔 일어나는 일”이라며 “미국도 결정을 급박하게 내렸고 우리도 그 즈음에 연락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결례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가장 근접한 계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정세로 인해 G7 정상회의 일정을 하루 단축하고 정상 만찬 후 귀국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은 ‘테헤란 3구’ 지역의 이란 군사시설을 공습하며 대규모 작전을 개시했고, 이란 정권 교체까지 거론되는 상황이 펼쳐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복귀 즉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정상회담은 성사…셔틀 외교 복원 의지
이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회의 기간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며 한일관계 복원에 첫발을 내디뎠다. 대통령실은 “한·일 정상회담은 17일 오후로 확정됐다”며 “양국 간 여러 이견이 있지만 건설적으로 협력하고 선순환 구조를 만들자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이자 광복 80주년이다.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이번 회담에서 경제·안보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으며,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는 이번 공식 의제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양측은 셔틀 외교 복원 및 성숙한 한·일관계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이번 G7 정상회의는 이재명 대통령 취임 열흘여 만에 이뤄진 첫 해외 순방이자 정상 외교 데뷔전이었다. 이 대통령은 부인 김혜경 여사와 함께 캐나다를 방문해 G7 회원국 및 초청국 정상들과 연쇄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
16일 첫날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정상과 회담했고, 17일에는 일본·캐나다·유럽연합(EU)·영국·브라질·멕시코·인도 정상들과 잇따라 만나 분주한 외교 일정을 소화했다. 이 대통령은 유엔 사무총장과도 약식 회동을 가졌다. G7 확대 세션에서는 ‘에너지 안보의 미래’를 주제로 한국의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및 인공지능(AI) 연계 정책을 소개하며 기후위기 대응과 국제 에너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17일 모든 일정을 마치고 캐나다 캘거리 공항을 통해 귀국길에 올랐다. 대통령실은 “이번 G7 정상회의는 이 대통령의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첫 시험무대였다”며 “정상 외교의 본격적인 출발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