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174.3%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19.4%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감독원은 교보, DB, 다우키움, 삼성, 미래에셋, 한화, 현대차 등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법정 기준인 100%를 충족했으나 전반적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위험을 대비할 수 있는 자본의 총액을 의미하는 통합자기자본은 171조1000억 원으로 전년말보다 4조7000억 원 줄었다. 반면 위험에 대비해 반드시 갖춰야할 최소한의 자본인 통합필요자본은 98조1000억원으로 7조3000억 원 증가했다. 통합필요자본의 증가는 해외 자회사 자산규모 증가와 보장성보험 확대에 따른 장해·질병위험액 증가에서 비롯됐다.
기업별로 자기자본 적정비율은 교보생명이 201.4%로 가장 높았고, DB 195.0%, 다우키움 193.8%, 삼성 185.1%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미래에셋은 164.2%, 한화 154.9%, 현대차 146.9%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변동폭을 보면 미래에셋만 8.7%p 상승했으며, 나머지 기업은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교보는 37.5%p, 삼성 25.4%p, DB 23.7%p 하락하며 보험계열 중심 그룹의 하락폭이 컸다. 이는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금리 하락으로 급감한 데 따른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은 전반적으로 자본적정성 비율이 법적 기준을 상회해 손실흡수 능력에는 문제가 없다고 평가하면서도,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금리·주가 등 금융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본비율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2024년말 기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총자산은 1328조9000억 원, 당기순이익은 13조 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증가했다. 금융회사 수는 총 310개로 집계됐다. 이 중 삼성과 현대차, 한화는 각각 5조원, 1조8000억 원, 900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상위권을 차지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