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의회에서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과 학교 밖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실질적 교육지원 방안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태숙 부산시의원(남구2)은 제329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특수교육 대상자 중 일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에 대한 지원이 현저히 부족하다”며 체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24년 기준 부산시 특수교육 대상자는 7436명이며 이 중 72.2%가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일반학급에 있는 1906명은 특수학급 학생보다 교육 지원이 더 열악한 상황이다. 정 의원은 “이들을 위한 ‘특수교육 코디네이터’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정 의원은 방과후 바우처와 치료비 지원 문제도 언급했다. “다른 시도는 방과후 바우처를 지원하고 있으나 부산은 제로”라며 “치료비도 월 16만 원 지원에 그치고 있어 교육 포기로 이어지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한 다문화학생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언어 문제 등으로 인해 통합교육이 사실상 어려운 다문화청소년의 대안교육이 사설기관에만 의존하고 있다”며 “공립다문화학교의 설립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시교육청은 현재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기숙형 다문화학교 설립을 검토 중이며 관련 용역도 진행하고 있다.
정 의원은 “장애학생과 다문화학생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확대돼야 진정한 사회통합이 가능하다”며 “소외 없이 함께 살아가는 교육환경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