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물가는 미·중 관세나 중동전쟁 등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목표치인 2%에 근접한 흐름을 보였지만 누적된 상승폭을 고려하면 물가 안정됐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한국은행은 18일 올해 상반기중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상승률이 모두 목표 수준인 2% 언저리에 머물렀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소비자물가가 이 같은 추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동 지역의 긴장이 악화되면서 유가가 70달러대 중반으로 상승하였음에도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0% 초중반대로 유지돼 물가상승률을 억제한 것이 물가 안정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률이 안정기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 실질적으로 가계, 특히 저소득층에 와닿는 생활 물가는 위험한 수준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존 물가가 이미 너무 높다는 점이 체감 물가가 높이는데 한 몫했다. 우리나라의 물가는 OECD 주요국과 비교한다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EIU와 OECD 데이터를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과일‧채소‧육류가격 수준은 OECD 평균의 1.5배 이상이며 빵이나 유지류 등 가공식품 가격도 높은 수준이다”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들이 해당 품목을 자주 구매하고 실제 수요도 많기 때문에 체감 물가가 높은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또 저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이 고가 상품보다 높게 나타나는 ‘칩플레이션’ 현상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관측됐다. 저소득층이 자주 구매하는 저가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이들의 실질적인 물가 부담은 가중된다.
물가가 오르며 자주 구매해야 하는 상품의 가격은 높아진 반면 근로소득이 물가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했다는 점도 서민층의 부담은 늘리는데 한몫했다.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공요금도 올랐다. 2024년 8월 도시가스요금이 인상된 이후 전기·가스·수도요금은 3%대 초반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코레일은 28일부터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 1,400원을 1,550원으로 인상할 예정이다.
이같은 높은 물가수준에 사람들의 소비 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5월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 지출을 더 늘리지 않은 소비자 만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62%의 소비자들은 "물가상승이 지출을 늘릴 수 없는 주된 이유였다"고 답했다.
물가 상승률은 목표치에 근접하고 이후에도 안정적일 것이란 전망이 제시됐으나 한은은 미중 무역 갈등, 국내 내수 침체 및 중동지역의 리스크 등의 문제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르는 불확실성에 대해 우려했다.
이외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은 오르지만 반대로 지방 집값은 하락하는 등 양극화까지 관측되며 한은은 한국 경제 전반의 구조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