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로야구 25일 경기에서 1위 한화 이글스, 3위 롯데 자이언츠 등 상위권 팀들이 패하고 4위 KIA 타이거즈, 5위 삼성 라이온즈가 이기면서 중상위권 간 게임차가 좁혀졌다. 25일 기준 1위 한화가 43승 1무 30패, 7위 SSG 랜더스가 36승 3무 35패로 1위부터 7위 사이 승차가 6경기에 불과하다.
3위 롯데(41승 3무 32패)와 4위 KIA(39승 2무 34패) 사이만 2경기 차이가 나고 다른 팀들은 모두 바로 위 순위 팀과 승차가 0.5 경기 또는 1경기 뿐이다. 하루 이기고 지는데 따라 순위변동이 극심하다.
8위 NC 다이노스도 '가을 야구' 마지노선인 5위 삼성과 승차가 3경기이기 때문에 아직 희망을 버리기엔 이르다.
올해 치열한 순위 경쟁은 같은 기간 예전 시즌 순위표와 비교하면 실감할 수 있다.
작년의 경우 6월 25일 기준 1위와 7위 승차는 10.5 경기였다. 1위 KIA가 45승 2무 30패로 1위를 달리고 있었고, 7위는 한화의 34승 2무 40패였다.
2023년의 경우에도 6월 25일 기준 1∼7위 승차는 11.5 경기였다.
2022년에는 같은 기간 1∼7위 승차가 13.5경기로 올해의 두 배가 넘었고, 2019년의 경우는 19.5경기 차이가 났었다.
10개 구단 체제로 확대된 2015년부터 올해까지 6월 25일 기준 1∼7위 승차가 가장 작았던 기록은 2015년으로, 당시 1위 NC(40승 1무 28패)와 공동 6위였던 KIA, SK 와이번스(이상 34승 33패)와 승차는 5.5 경기였다.
2015시즌과 올해의 공통점은 확실한 최하위 팀이 있다는 것이다. 2015년에는 1군 무대에 데뷔한 kt wiz가 6월 25일까지 20승 52패, 승률 0.278을 기록하며 당시 9위였던 LG 트윈스에도 12.5 경기 뒤진 10위였다.
올해는 키움 히어로즈가 22승 2무 54패, 승률 0.289로 최하위를 지키면서 7위 팀도 승률 5할을 넘기는 이유가 됐다.
2021년도 순위 경쟁이 치열한 시즌이었다. 당시 6월 25일 기준 1위 kt(38승 27패)와 7위 두산 베어스(33승 34패) 승차도 올해와 같은 6경기였다.
이번 시즌 KBO리그는 한화, LG, 롯데, KIA, 삼성 등 '인기 팀'들이 상위권에 연달아 있고, 두산도 지금은 9위지만 최근 10경기에서 5할 승률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순위 경쟁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이는 2년 연속 1천만 관중 돌파를 바라보는 리그 흥행에도 큰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