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 등 이른바 ‘3대 특검’의 수사 진행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특검은 지난 2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등으로 체포영장을 청구한 가운데, 출국금지 조처도 갱신한 것으로 25일 나타났다.
앞서 법무부는 작년 12월 9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의 요청에 따라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출국금지했다. 이번 출금금지 갱신은 수사기관이 바뀌면서 조치됐다. 이번 조치는 윤 전 대통령의 해외 도피 가능성을 원천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서울중앙지법은 이르면 오늘(25일)이날 체포영장 발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내란특검의 이같은 속도전은 윤 전 대통령 측의 지연작전에 말려들지 않겠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내란특검의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24일 오후 체포영장 청구 배경을 설명하면서 “특검은 수사 기한에 제한이 있고, 여러 사항에 대한 조사가 예상되는 바 (윤 전 대통령에) 끌려다니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힌바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각종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검은 이날 수사팀 인력 배치와 관련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 밝혔다.
특검팀은 지난 12일 특검 임명 후 20일간 준비기간을 거친 민중기 특검팀은 내달 2일 현판식을 할 예정이다.
특검팀의 수사 대상은 김 여사와 관련한 주가 조작 의혹, 코바나컨텐츠 관련 전시회에 기업들이 뇌물성 협찬을 제공했다는 의혹, 고가 명품 수수 의혹 등 16개다. 특검팀은 8개 수사팀을 구성해 사건을 분담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병대 고 채수근 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하는 이명헌 특검은 25일 김건희 여사의 소환 및 불응시 체포영장 발부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김 여사가 소환에 불응한다면 어떻게 대응할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당연히 원칙적으로 체포 영장을 발행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채해병 특검팀은 오는 30일 수사팀 구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