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9 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의 본격적인 진상조사가 17일 시작됐다. 참사 발생 963일 만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2일 이태원참사의 진상규명이 신속하고 철저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강조한 바 있어 특조위 활동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날 열린 특조위 회의에서는 유가족들이 신청한 ‘10.29 이태원참사 사망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제1호 사건을 비롯해, 총 41건의 신청사건과 8건의 직권조사 사건에 대한 조사 개시가 결정됐다.
조사 대상은 희생자 159명이 사망에 이르는 과정, 희생자들이 가족에 인계되기까지의 행적, 인파 밀집 대책의 문제점, 대통령실 용산 이전이 참사 대응에 미친 영향 등이다.
더불어민주당 이태원참사특별위원회도 이날 입장문을 내어 “진상을 규명하기 위한 엄정하고 신속한 조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특히 “철저한 조사를 위해 행정안전부 등 국가기관은 특조위 조사에 보다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대통령 기록물은 참사 당시 컨트롤타워가 제 기능을 했는지를 보여줄 핵심 자료들”이라며 “이태원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해 관련 자료들이 대통령 기록물로 봉인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윤석열 정부 하에서는 특조위 활동이 매우 지체되었지만, 이재명 정부는 국가의 책임을 다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