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검 조사에 당당히 응하겠다”던 윤석열 전 대통령측이 하루도 안돼 “비공개 조사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출석하지 않겠다”며 입장을 바꿨다.
특검팀은 체포영장 재청구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맞받았다. 오는 28일로 예정된 조사가 이뤄질지 주목되고 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26일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 측에서 지하 주차장 출입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특검의 출석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의견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날 서울중앙지법은 “피의자가 특검의 출석 요구에 응할 의사를 밝혔다”는 이유로 특검이 청구한 윤 전 대통령 체포 영장을 기각했다. 이에 특검은 28일 오전 9시 서울고검 청사에 출석해 조사를 받을 것을 통보했고, 윤 대통령 측도 언론 공지를 통해 “당당하게 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윤 대통령측은 ‘비공개 소환’을 조건으로 내걸며 입장을 바꿨다. 소환 시간도 9시에서 10시로 늦춰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박 특검보는 이를 즉시 공개하고 전직 대통령의 소환 사례를 언급하며 반박했다. 박 특검보는 “전두환·노태우·이명박·박근혜·노무현 전 대통령 누구도 지하 주차장으로 들어온 적이 없다”며 “(일반 피의자와 윤 전 대통령을) 달리 대우하는 것 자체가 국민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는 관점에서 좀 봐야 하지 않냐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윤 전 대통령 측 입장은) 사실상 출석 조사를 거부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며 “이런 경우라면 누구라도 형사소송법에 따른 절차를 검토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해 체포영장 재청구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조사 시각을 오전 9시에서 오전 10시로 1시간 미뤄달라는 윤 전 대통령 측 요구는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에따라 오는 28일 조사가 이뤄질 수 있을지 불투명해진 가운데, 박 특검보는 “나오느냐 안 나오느냐는 윤 전 대통령 측에서의 결정인 것”이라며 “토요일(28일)까지 시간이 남아서 어떤 식으로 응답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소환 조사가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를 위해 영상녹화 장비 설치, 질문지 마련 등을 준비한 가운데, 윤 전 대통령이 조사에 응하지 않거나 비협조적인 경우를 대비한 대응책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현장에 있던 국무위원에게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또한 윤 전 대통령이 체포영장을 막으려 했다는 의혹, 비화폰 관련 기록 삭제 지시, 외환죄 의혹 등도 함께 조사할 계획이다.
후원하기